다우주 알파벳/초글(Chogul)
한글에 대한 초글의 특징
김곧글 Kim Godgul
2006. 12. 13. 05:10
한글에 대한 초글의 특징
- 모음 가획에 사선을 도입 (모음 음가의 확장)
- 복모음, 삼중모음(중국어) 표기로 인해 음절에서 모음 표기 공간이 확장됨
- ‘ㅡ(참으)’ 자를 도입 (모음 없는 자음 음절 표기 가능)
- 음절의 상단영역을 활용 (중국어 성조, 프랑스어...)
- 문자를 추가할 경우, 가획, 감획, 뒤집기, 회전 원리 이용
- 가획할 경우, 기존의 가획과 비슷한 길이의 수평선, 수직선, 사선을 씀.
- 쌍자음을 필기획수를 줄인 단축형태로 제작 (경음을 항시 쓰는 외국어에 사용)
- 장음표기 가능
- 한글 고유의 독창성을 유지.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 특징을 유지)
- 가독성과 필기 오류 부담으로 점(point, dot)을 가획하여 문자를 만들지 않았음
- 본래 한글의 조형성을 깨뜨리지 않는 한도 내에서 추가 문자 제작
- 모음 가획에 사선을 도입 (모음 음가의 확장)
- 복모음, 삼중모음(중국어) 표기로 인해 음절에서 모음 표기 공간이 확장됨
- ‘ㅡ(참으)’ 자를 도입 (모음 없는 자음 음절 표기 가능)
- 음절의 상단영역을 활용 (중국어 성조, 프랑스어...)
- 문자를 추가할 경우, 가획, 감획, 뒤집기, 회전 원리 이용
- 가획할 경우, 기존의 가획과 비슷한 길이의 수평선, 수직선, 사선을 씀.
- 쌍자음을 필기획수를 줄인 단축형태로 제작 (경음을 항시 쓰는 외국어에 사용)
- 장음표기 가능
- 한글 고유의 독창성을 유지.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 특징을 유지)
- 가독성과 필기 오류 부담으로 점(point, dot)을 가획하여 문자를 만들지 않았음
- 본래 한글의 조형성을 깨뜨리지 않는 한도 내에서 추가 문자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