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좌표 관련 숫자가 3x3x3 정육면체를 초과하는 경우에 표기하는 방법에 관하여 살펴봤다. 그러나 이 방법도 최대 3까지만 표기할 수 있다. 수평 조력자, 수직 조력자가 각각 3까지 표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그 이상의 숫자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어떻게 표기하는 것이 좋을까?
물론 이처럼 큰 숫자들이 많이 등장한다면 문자의 기능을 벗어나서 수학의 영역이기 때문에 굳이 필요없는 기능일 수도 있다. 다만, 정수(양의 정수, 음의 정수)를 적는 정도만을 표기할 수 있도록 표기법을 만드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래 그림설명은 좌표 관련 숫자들이 엄청 큰 경우를 가정해서 설명했다. 그러니까 3x3x3 정육면체가 엄청나게 많이 확장된 경우에 그 곳 어딘가에서 두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것에 관한 유닛블록(글자)을 표기하는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2016년 10월 6일 김곧글(Kim Godgul)
'동글(Dongu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글(Dongul) - 역방향 이동 (reverse move) (0) | 2016.10.19 |
---|---|
동글(Dongul) - 단독형 ㅡ 조력자, 단독형 ㅣ 조력자 (0) | 2016.10.09 |
동글(Dongul) - 상대좌표(Relative Coordinate) (0) | 2016.10.05 |
동글(Dongul) - 출발점에 S좌표, R좌표 사용하기 (0) | 2016.10.04 |
동글(Dongul) - 의자(Chair) - 유닛블록을 보조하는 접두사, 접미사 (0) | 2016.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