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바시(Habacy)

은하는 엑스트라고 블랙홀이 주인공일지도 모른다.

by 김곧글 Kim Godgul 2008. 9. 20. 00:05

모래 알갱이 우주 속 은하(별, 행성)이 주인공이 아닐 수도 있겠다. 모래 알갱이 우주가 탄생해서 죽을때까지를 마치 계란 속 병아리에 비유한다면 말이다. 관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블랙홀 또는 아직 인간이 모르는 어떤 무엇이 병아리고 은하는 계란 껍질 같은 존재는 아닐까?

계란의 목적, 주체, 핵심, 정체성은 껍질일까? 병아리일까? 한 쪽을 선택하고 다른 쪽을 아니라고 단정지어도 괜찮고 둘 다 선택해도 문제될 건 없다. 다만, 전체와 일부,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 본체와 액세서리라는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어떨까? 모래 알갱이 우주의 본체와 액세서리는 뭘까? 얼룩말은 검은 바탕에 흰줄이 그어져 있는 걸까? 아니면 흰 바탕에 검은 줄이 그어진 걸까? 관점의 차이다.

마치 병아리가 태어나서 닭으로 살다가 계란을 수십개 낳고 말년에 양념치킨으로 포장되기까지가 좀더 비중있는 핵심 요소인 것처럼, 모래 알갱이 속 우주는 외부 절대무에서 닭 인생에 해당하는 변화된 블랙홀이 잉태되기 위한 짧은 순간은 아닐까? 우주의 종말이 거대한 블랙홀이 많은 은하를 삼킨 상태라고 가정할 때 은하는 블랙홀이 병아리처럼 성장하는데 공급되는 영양소(에너지) 비슷한 가치일 수도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모래 알갱이 우주 속 본체는 블랙홀이라고 볼 수 있고, 은하는 액세서리라고 볼 수도 있다. (물론 관점의 차이다) 비슷한 맥락으로 어쩌면 블랙홀도 아니고 아직 인간이 발견하지 못한 어떤 무엇일 수도 있다. 암흑 물질과 블랙홀이 짝짝꿍 해서 새로운 뭔가의 탄생을 위한 근원 역할을 할지도 모른다. 인간의 망원경으로 우주의 과거는 볼 수 있어도 미래는 볼 수 없다. 실제로 우주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는 과거보다 예측하기 힘든 것 같다. 아직 우주에 대해 모르는 점이 너무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은하, 별, 행성이 모래 알갱이 우주라는 무대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주인공이 아니라 단지 엑스트라일 수도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자책하자는 뜻이 아니다. 허무주의에 빠지자는 뜻도 아니다.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만물이 전 우주에 대해서 엑스트라인데 인간 세상에서 막강한 권력을 쥐고 우월감을 만끽하며 지구 문명의 주인 행세를 하는 소수 권력층을 어떻게 바라보느냐를 생각할 수 있다. "다 같은 엑스트라 족보끼리 좀 너그럽게 넉넉하게 지낼 수 없을까? 서로 잡아먹으려고 으르렁 대는 것을 멈출 수는 없을까?" 라고 생각할 수 있지 않냐는 뜻이다.

현재까지 인간의 두뇌로 공들여 쌓아올린 훌륭한 과학, 철학, 예술, 문명 등은 모래 알갱이 우주 전체로 치면 액세서리 대지에 잠깐 핀 꽃일 수도 있다. 그래서 하찮다는 뜻이 아니다. 인간을 둘러싼 세상 만물의 액세서리 성격의 존재들 어느 하나 하찮을 수 없다는 뜻이다. 하루살이라고 함부러 죽일 수 없다는 뜻이다. 콧물도 중요하고 목성도 중요하단 뜻이다. 인간의 족보, 출신지, 거주지, 부, 권력, 가방끈, 직업, 직위, 외모... 높고 낮음과 무관하게 각자 나름 가치가 있다는 뜻이다. 모두 똑같이 액세서리, 엑스트라 후손이다. 인간이란 존재 자체가 액세서리인데 그 인간이 만든 지배, 피지배, 우월, 열등 개념으로 인간사회를 '주와 부'로 구분하는 일부 권력에 의한 문명 가치관, 조망에 지나치게 함몰되어 사는 것에서 빠져나오면 좋겠다는 뜻이다. 문명, 도시를 떠나란 뜻이 아니다. 보편적으로 봤을 때 분명히 우주 만물의 조화, 균형, 순환의 섭리에 어긋나는 것인데 '어떤 사람들이 그걸 실행해서 욕심을 배불리 채웠으니 나도 쫓아가자' 이런 삶을 살았던 사람이 스스로 깨어나서 소신있게 자신의 삶을 살면 그것으로 우주의 섭리를 따르는 삶, 세상 순리를 따르는 삶이겠다는 생각이 든다.

인간이 우주 전체의 주인공이 아니라는 사실은 어느 정도 보편적 진리다. 혹시 밤하늘에 반짝이는 수많은 별들도 인간과 비슷한 처지는 아닐까? 동병상련으로 인간은 우주라는 무대에서 엑스트라 성격의 별, 은하를 본능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태어난 존재일 수도 있다는 의미다. 실제 우주의 주인공은 인간의 잘 인지할 수 없는 그 무엇일 수도 있겠다고 생각해본다.

2008년 9월 20일 김곧글 Kim Godgul